[뉴비 가이드] 히어로·프레임 편성
※ 참고 ※
- 해당 글은 공식 가이드가 아니기 때문에 공식에서 의도한 바와 다를 수 있습니다. 가볍게 읽어주시면 감사드립니다.
- 뉴비 분들을 위한 가이드이므로 기본적인 부분 위주로만 설명합니다. 효율을 극한까지 끌어올리고 싶은 고인물용 가이드가 아닙니다.
- 인게임 UI 리뉴얼로 변경점이 생겼습니다. 내용은 새 버전으로 수정 완료하였으며, 이미지는 필요한 부분에 한해서만 교체했기 때문에 현재 UI와는 다른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수시로 내용 수정, 추가가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틀린 정보나 추가되었으면 하는 내용이 있다면 편하게 알려주세요.
<가이드 이해를 위한 그뭔씹 용어설명>
회심 : 크리티컬(극대)
버스트스킬(이하 버스트) : 궁극기
어빌리티 : 패시브
어드밴스 로드 : 히어로 로드랑 비슷한 추가 로드. 6번째 로드부터는 특수자원을 필요로 하고(레인보우 잭), 자원 필요량이 기본 히어로 로드보다 높아서 뉴비는 메인 히어로를 1순위로 천천히 뚫는 것이 좋음

링크 : 조합, 공격순서 맞췄을 때 주는 보너스 효과
유니온 어택 : 한 턴에 버스트를 2개 이상 사용 시 들어가는 보너스 광역딜. 유니온 어택의 딜량은 그 턴에 들어간 버스트딜에 영향을 받음
<히어로 편성>
Q. 없으면 꼬운 인권카가 있나요?
A. 없어서 진행이 안되는 정도의 카드는 없지만, 주년카드가 일반 이벤트 카드보다 범용성도 성능도 좋은 편에 속합니다.
초반 카드 < 최근 카드
no폼체인지 < yes폼체인지
1. 타입 통일

불리타입에게는 딜이 덜 들어가고, 유리타입에는 딜이 더 들어가기 때문에 유리타입으로 통일시켜야 합니다.
받는 데미지도 마찬가지로 불리타입 적한테는 더 아프게 맞고, 유리타입 적한테는 덜 아프게 맞습니다.

카드 풀이 적거나 해당 스킬의 히어로가 없어서 다른 타입을 같이 껴야 한다면 적어도 불리타입만은 피해봅시다.



자주 등장하지는 않지만, 퓨어 타입도 있습니다. 퓨어 타입은 어느 타입에도 득실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퓨어 타입 보스에 대해서 ▼
퓨어 타입은 어느 타입에도 딜 관련 득실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그냥 깡딜로 밀어붙여야 합니다.
타입을 통일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타입보다는 스킬+링크+보스 기믹을 보고 편성해야 하는데요, 이벤트 보상+연동 가챠 히어로를 중심으로 편성하는 편이 제일 좋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회심버프로 밀어붙이기가 제일 쉬웠던 것 같습니다.. 물론 이 방법이 절대적인 정답은 아니며, 더 좋은 방법이 있을 수 있습니다.

sid 완결기념 이벤 포보였던 세이지가 사용 조건은 조금 까다로운 편이지만 유일하게 퓨어 특효버프를 가진 카드여서 살짝 언급해 봅니다.
2. 링크 유무

링크가 있는 히어로는 사진처럼 노란 줄로 링크가 걸립니다.

사진처럼 버스트도 링크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한 턴에 버스트를 2개 이상 사용 시, 유니온 어택이라는 보너스 데미지를 얹어줍니다.
링크를 걸면 회심확률, 데미지, 버스트 게이지 등에서 이득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우리의 목표는 최대한 링크를 주고받는 조합으로 짜야 합니다.
링크 대상이랑 버프는 캐릭터 고정 아닙니다. 카드마다 다 다름

히어로 교체하는 창에서도 확인할 수 있고

길게 누르면 링크 내용도 확인 가능합니다.
링크를 네 명 다 주고받는 조합이 제일 베스트지만, 둘둘씩만 주고받을 수 있어도 괜찮습니다.
Q. 왜 둘둘씩인가요? 셋 하나 조합은 안되나요?
A. 안된다는 법은 없지만 셋 하나 조합으로 오토를 돌리면 링크가 안 걸리는 한명이 왕따당합니다...
보스 기믹 중 n턴 이내 링크를 주고받지 않으면 불이익을 주는 기믹에서 이득을 못 볼 뿐더러, 링크가 걸리는 세 명 위주로 턴이 돌아가서 자칫하면 버스트가 쌓여도 계속 묵혀두게 되는 상황도 일어납니다.
배치 위치는 크게 상관없으니 되도록이면 둘둘씩 편성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Q. 폼체인지는 뭔가요?
A. 통상과 초기 이벤트 카드, 4차 이후 하코 카드에만 있는 어나더 일러+스테이터스 업 시스템입니다. 깡스텟도 높아집니다.


Q. 저레어(3성 이하)는 안 쓰이나요?
A. 동일 조건의 4성카드가 있다면 쓰이지 않겠지만,
어드밴스로드 미오픈 4성 명함<3성 1돌
어드밴스로드 풀오픈 4성 명함=3성 2돌
대략 이정도의 스텟차이가 납니다. 게다가 이벤트 특효가 붙은 3성 카드는 적당히 키워둔 4성보다 더 높은 성능과 이벤포 배수를 주기 때문에 가챠 돌렸을 때 3성이라고 아쉬워하지 말고 키워서 편성시킵시다.
Q. 그래서 어떻게 편성하면 되나요?
1. 속성확인
2. 가장 세거나, 메인으로 두고 싶은 히어로 정하기(해당 이벤 가챠, 보상카가 있다면 반드시 포함)
3. 그 히어로의 링크에 맞춰서 나머지 칸 채우기
<배치 위치>

어태커 : 스킬셋이 자벞 위주인 히어로
서포터 : 스킬셋이 힐, 팀벞, 디벞해제 위주인 히어로
이렇게 배치하는 이유는 오토를 돌렸을 때 개인 버프를 제일 좌측 히어로에게 걸어주기 때문입니다.
말이 어태커 서포터지 요즘 나오는 카드는 구분이 거의 없는지라 그냥 좌측부터 강한 순으로 배치하면 됩니다.
단!
강제커버를 달아주는 스킬도 제일 좌측의 히어로에게 걸어주기 때문에, HP가 많을수록 딜이 올라가는 히어로나 방어력이나 hp가 낮은 히어로의 경우는 왼쪽에서 두번째 순서에 두는 게 좋겠죠.
HP가 딜에 영향을 주는 히어로 목록은 아래 프레임 스킬 발동 설명 부분에 정리해 두었습니다.

위치는 하나하나 눌러서 바꿀 수도 있는데 이렇게 밀어서 바꾸면 더 편하고 재밌음
<프레임>


Q. 4성 프레임 풀이 많이 중요할까요?
A. 개인차가 있겠지만 제 체감상 지금까지의 프레임 중에 이건 꼭 있어야한다! 인권수준의 프레임은 없었습니다.
이벤 고레어 프레임의 대부분은 그 이벤카드와 세트이고(범용성이 애매), 한정인 생일 프레임도 콜렉용도라...(메인으로 쓰기에 애매한 스킬or어빌리티만 있는 프레임도 존재)
2~3성 프레임으로도 충분히 익플 1트클 가능합니다. 실제로 저도 2성 프레임 많이 사용합니다.
어차피 가챠 좀 돌리다보면 픽뚫로 한바가지 생겨 있을테니 걱정하지 마세요.
<메인 프레임>
개편 업데이트로 프레임에 타입이 사라졌습니다. 이제는 스킬 유무, 종류만 보면 됩니다.
속성관련 어빌리티는 남아있긴 하지만, 유의미할 정도의 체감은 없으므로 적당히 보시면 됩니다.
1. 전용 스킬 유무

이렇게 스킬 표시가 되어있는 걸로 넣어야 퀘스트 들어갔을 때 세 번째 스킬이 생깁니다.

프레임 상세창에서도 확인 가능
메인 프레임에 스킬이 안 붙은 프레임을 달고 간다면...?


이렇게 됩니다.
2. 스킬 종류


둘 다 아키라가 메인으로 쓸 수 있는 프레임입니다.
위 프레임은 아군 전체에게 버스트 데미지 UP(대) 스킬이고,
아래 프레임은 전체 힐+공격 UP(소) 스킬이에요.
아래 프레임이 위 프레임보다 레벨과 공격력이 더 높기 때문에 단순 깡공(=깡공격력)만 본다면
아래 프레임 쪽이 좋아 보일 수도 있겠지만, 버프로 상승되는 딜량을 생각해보면 깡공보다는 버프쪽이 딜이 더 잘 나올 겁니다.
힐 프레임을 따로 챙겨야 하는 케이스
· 보스가 아프게 때려서 버텨야 됨
· 커버* 스킬이 있는데 종잇장이라 살살 녹는 히어로(커버+무적인 통상 제이는 예외)
· 발동에 HP 제한 or HP를 소모하는 스킬을 가진 히어로
커버* : n턴간 한 명(자신)이 공격을 확정으로 맞아줍니다. 대신 맞아주기.
※ 힐 특화 히어로가 있다면 딜러한테 따로 힐 붙이지 않아도 됨.
다만 정말 아픈 딜이 들어오는 보스의 경우 몇 명이 누워서, 혹은 전멸로 티켓손실 내는 것보다 프레임 딜버프를 포기하는 쪽이 더 나으니 힐프레임을 무조건 딜손실이라고 생각하지는 맙시다.
※ 힐을 챙겨야 하는 상황이라면, 팀 편성에서 어태커보다는 서포터 우선으로 붙여주기. 더 좋은 힐 스킬이 있는 경우 어태커한테 붙여줘도 무방합니다.
Q. 힐이 필요한지는 어떻게 아나요?
A. 재화 퀘스트, 익스까지의 보스는 육성이 덜 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힐스킬을 가져갈 필요가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이벤트 익플 보스와 서바이브 보스는 피통을 절반 넘게 날려버리는 놈들이 있기 때문에 보스 파훼법을 보고 상황에 따라서 유동적으로 바꿔줍니다.

보스 화면에 들어가서 좌측 하단 버튼을 누르면 릴리 교관이 보스 파훼법을 알려줍니다.
사진을 보면 첫 문단에 히어로의 방어력을 저하시킨다고 되어있으니 아프게 맞는다는 뜻이겠죠?

일단 맞아보고 힐스킬 넣는 방법도 있긴합니다
Q. 그래서 힐프레임은 뭘 써야 하나요
A. 취향껏 쓰시면 됩니다. 참고용으로 제가 자주 쓰는 힐프레임을 소개해 두겠습니다. 쿨이 짧아서 자주 돌릴 수 있는 힐프레임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쿨타임이 풀돌기준 4/4로 짧아서 자주 사용 가능하고, 사용 히어로 제한이 없음.




쿨타임이 풀돌기준 3/3으로 아주 짧아서 자주 돌릴 수 있음.

풀돌기준 쿨타임 4, 하코덱일시 쿨 1턴이 감소함.

풀돌기준 4/2로 쿨타임이 짧은 편이고 힐과 추가버프도 달려 있어서 요즘 자주 사용함.
초반 SD프레임은 스킬이 BP회복만 달려있어서 미묘했지만, 최근에 나오는 SD프레임은 정말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3. 발동 조건
스킬 발동 조건이 있는 프레임도 많기 때문에 여유가 된다면 신경을 써 보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쿨타임이 긴 스킬
버프 효과는 좋지만 쿨타임이 너무 길어서 한 웨이브당 한 번밖에 쓸 수 없는 스킬도 있으니 쿨타임도 확인해야 합니다.
수동으로 돌린다면 조절해서 최적의 타이밍에 사용할 수 있겠지만 우리는 오토를 돌릴 거니까...

발동에 BP를 소모하는 스킬
딜러는 버스트 퍼센트가 높게 책정되어 있기 때문에, 버스트를 빠르게 채워서 많이 돌려야 합니다. 그런 딜러에게 bp소모 스킬을 쥐어준다면 큰 딜손실이 일어나겠죠?
이런 스킬의 프레임을 사용해야 한다면 버스트 퍼센트가 낮게 책정된 서포터나 BP를 200%까지 채울 수 있는 주년카 히어로에게 쥐어주는 쪽이 좋습니다.

발동에 SP오브가 필요한 스킬
SP오브를 지속적으로 수급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면 사실상 없는 스킬이나 마찬가지이므로(...) 상황과 조합을 굉장히 탑니다. SP오브 소모로 추가적으로 강화하는 조건이 달린 히어로나 프레임 스킬도 있고, 이런 조건이 있던 없던 오토 돌리면 그냥 냅다 써버려서 여러모로 까다로운 편입니다.
SP오브 획득, 소모 스킬을 가진 히어로 목록 ▼





빠진 카드가 있을 수 있음

발동에 HP를 소모하는 스킬
HP가 높을수록 딜이 높아지는 카드, HP가 낮을수록 딜이 높아지는 카드가 있기 때문에 고려해 주셔야 합니다.
HP 관련 스킬을 가진 히어로 목록 ▼





빠진 카드가 있을 수 있음
Q. 너무 길어요
1. 스킬유무확인

2. 딜 버프 프레임 풀이 어떻게 되는지 확인. 개인적으로는 회심 관련이 제일 체감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2-1. 방어관련(방패 아이콘) 잘 안씀. 딜스킬(빨간 아이콘) 일부 히어로, 보스기믹 외에는 안씀
3. 쿨타임 너무 긴거 추려내기
4. 실전에서 너무 아프면 힐프레임이나 힐러 히어로로 교체
<어빌리티>

좌측 상단을 누르면

이렇게 스킬과 현재 발동된 어빌리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브 프레임>

어빌리티 칸에 들어간 프레임은 스킬 발동이 되지 않으므로, 어빌리티 칸에 넣을 프레임은 스킬을 볼 필요가 없습니다.

사진과 같이 풀돌이 아닌 프레임은 어빌리티도 프레임 주인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확인을 해 줘야 합니다.


이렇게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진의 경우는 히어로 로드가 뚫리지 않았으며, 풀돌이 아닌 다른 캐의 프레임을 어빌리티 칸에 달고 있어서 두 개가 비활성화 상태네요.
Q. 너무 길어요
1. 어빌리티 차이로 익플을 못깨지는 않아서 빈칸이나 남의 꺼 써서 비활성화시키지만 않으면 됩니다. 취향껏...
2. 저는 BP관련 어빌리티를 주로 씁니다.(이클립스, 직원들 프레임에 꽤 쓸만한 BP 어빌리티가 달려있습니다.)
3. 그냥 오마카세 돌려놓고 메인 프레임만 바꿔주는게 뉴비 덱편성 정배같긴 합니다.